경주시 종합장사공원 ‘경주하늘마루’개원을 앞두고 지역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2008년 종합장사공원 부지 선정 때 부터 비상대책위가 만들어 지고 반대시위에는 어김없이 주민들이 동원됐다.
그 과정에서 상당수의 지역주민들은 집시법 또는 업무방해혐의로? 경찰에 조사받은 고초를 격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주민대표들과 경주시 간 합의가 이루어져 개원을 앞두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주민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합의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지역주민 뿐 아이라 고향발전을 원하는 많은 출향인들의 금품과 물품 지원이 있었고 반대집회에 사용됐다.
그러나 경주시와 합의 시점에선 누구도 출향인들에게 합의내용에 대한 설명과 구체적인 설명도 없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봉으로 본 것이다.
경주시는 부지공모 당시에 내 걸었던 인센티브 30억에 대한 관리감독도 엉망이다.
서면장과 서면개발자문위원장의 명의로 신경주농협에 예치하더니 그 예치금 이자 일부를 종합장사공원 주변지역 6개 마을외 유치지역 7개 마을자금으로 나눠 쓰고 있다. 또한 이들은 주민도 알지 못하는 영농조합법인‘부흥’을 설립해 이 법인으로 이자를 받았다는 것이다.
영농조합법인 ‘부흥’은 몇몇 동네 유지들만 알뿐 일반 주민들은 설립 목적과 과정 등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주민들의 의견수렴이나 설명절차를 생략함은 물론 이장이란 대표성 하나만으로 전횡을 일삼고 주민들의 고통으로 받은 인센티브 이자를 떡 주무르듯 주물러도 누구하나 관섭하는 사람이 없다.
경주시 관계부서도 눈을 감고 있기는 마찬 가지다. 내용 파악을 못하고 있는지 관계담당자를 통해 조사를 해보겠다는 애기만 되풀이 할 뿐이다.
서면 주민들은 30여년을 서라벌 공원묘원으로 인해 공동묘지 동네란 오명을 쓰고 살았다.
이제는 경주시민뿐 만 아니라 인근지역에서 까지 화장장을 찾아 많은 영구차량들이 찾을 것이다. 일반인들은 일생에 몇 번뿐일 광경을 주민들은 하루에도 몇 차례씩이나 보게 될 처지다.
이런 대가로 받은 인센티브 30억과 주변지역에 주어지는 소득사업비 등은 서면 주민들의 살이요 피와도 같다.
아무리 작은 돈이라 하더라도 주민들의 공익을 위해 집행돼야 할 돈이 주민들의 의견은 반영하지 않은 채 몇몇 인사들의 손에서 좌지우지 된다면 지역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 돈이 쓰여 질수 있도록 경주시는 보다 철저한 관리 감독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박삼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