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에 발표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살펴보면 2027년까지 총 2,957만kw의 설비용량의 증설된다. 증설용량의 53%를 화력발전으로 수급하고 신재생에너지는 확충되며 신규 원전의 계획은 유보되었다.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 4.9%에서 2027년 20.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전력수급에 관한 국가의 정책은 전력 수요관리와 화력, 원자력의 적절한 구성비를 유지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정착을 이루어 가는 것이 될 것이다.현재 전력 확보를 위한 에너지원은 화석연료 기반이 주류이며 환경문제로 대체 에너지원은 신재생에너지 및 원자력으로 볼 수 있다. 아직까지 저변이 약한 신재생에너지는 전력생산까지 수반되는 제비용이 많고 지리 및 기후의 제약이 있어 지속적으로 개선해가야 할 부분이 있다. 원자력의 경우 낮은 단가와 고용량의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안전성 확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초국가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기존의 전력구성의 틀을 벗어나 친환경적이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력산업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기저(基底) 전력을 책임지고 있는 화력 및 원자력을 배제한 상태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정착을 이루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차세대 에너지원을 확보하기까지는 기존의 전력공급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저변을 확대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전기의 보급이 시작된 이래로, 화력이 화려한 데뷔를 하고 선발진으로서 전력산업의 기틀 마련을 주었다면 원자력은 화력을 이어 중계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해 가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의 안정적인 정착까지는 기술의 축적 및 생산원가 등의 해결할 과제가 남아 있다. 신규에너지원이 기저전력을 책임질 수 있는 시점까지 주력 발전인 원자력이 징검다리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신한울건설소 기계팀 주임 김관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