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붐 세대가 본격적인 은퇴를 앞두고 있고, 노인문제등 본격적인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노후,은퇴에 대한 심각한 고민의 필요하에 노후준비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흥미로운 설문조사 결과가 있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지난 5월 MGAC(Multinational Group of Actuaries and Consultants)의 13개 회원국에서 각각 100명에게 “만약 노후에 충분한 소득(돈)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를 탓하시겠습니까”라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연령, 성별, 직업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로 100명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이므로 통계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는 사회적 배경을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됩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후준비는‘내 책임’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스페인과 스웨덴의 경우 국가의 책임이라는 답변이 70%가 넘습니다. 스페인은 최근 경제위기로 정부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졌기 때문이고, 복지국가 스웨덴의 경우는 복지를 위해 많은 세금을 내고 있기 때문에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판단됩니다.
한국이 MGAC의 회원국이 아니어서 동일한 설문조사 결과로 인한 비교가 불가능하지만, 다른 통계자료를 통해 한국사람들의 노후준비에 대한 생각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월‘서울 보건ㆍ복지ㆍ시민의식 주요통계조사’와 5월‘2013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고령층에 대한 사회적 부양 은 가족과 정부ㆍ사회의 공동책임이라는 생각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인부양을 위한 사회적 부담이 커지면서 그 만큼 정부 및 사회에 기대하는 부분이 커진 것으로 판단 정부와 가족(또는 스스로)이 함께 고령자 부양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 설문조사에서 19세 이상 가구주들은‘본인들의 노후 준비를 위해서 어떤 방법을 하고 있는 가’라는 질문에 대해 56.2%가 국민연금으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정부의 국민을 위한 노후준비 정책이 기본적으로 국민연금이므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는 사람 중 반 이상은 결국 정부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올해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84만 원 입니다. 소득수준에 따라 개인별로 수령액에 차이가 존재하겠지만 월평균 수령액이 대부분의 국민이 원하는 수준으로 높아지려면 더 많은 보험료를 국민들이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에게 더 많은 복지 정책을 요구하려면 스웨덴처럼 더 많은 세금을 국민들이 납부해야 할 것입니다.
최근 기초노령연금 등 복지정책에 대한 혼란,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로 보험료 인상 논의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정부에게만 의지하기에는 위험(불안)요소가 많습니다.
즉, 정부의 정책에 의한 노후대비도 결국 내 책임(내 돈)이라는 인식과 함께 정부의 정책과 별도로 본인의 노후는 스스로(저축,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준비해야 한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박기영(대우증권 경주지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