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로축구 K리그의 자존심 FC서울이 에스테그랄(이란)을 따돌리고 팀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진출했다.서울은 3일 0시30분(한국시간) 이란 테헤란의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에스테그랄과의 2013 AFC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2차전에서 2-2로 비기면서 1·2차전 득점합계 4-2로 앞서 결승에 올랐다.서울은 지난달 25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2-0 완승을 거뒀다.이로써 서울은 팀 창단 이후 처음으로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오르는 감격을 맛봤다. 전신 안양 LG 치타스가 아시안클럽 챔피언십으로 치러졌던 2002년에 결승에 진출해 준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지만 같은 해 챔피언스리그로 확대·재편된 이후에는 처음 있는 일이다.또 K리그는 5년 연속으로 챔피언스리그 결승 진출 팀을 배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역대 아시아 클럽 대항전에서 5년 연속으로 결승 진출 팀을 배출한 리그는 없었다.2009년 포항스틸러스를 시작으로 2010년 성남일화, 2011년 전북현대 2012년, 울산현대가 결승에 진출했다. 이 중 2011년 전북을 제외하곤 모두 정상에 올랐다.서울의 결승 상대는 광저우 에버그란데(중국)다. 광저우는 앞서 열린 가시와 레이솔(일본)과의 준결승 2차전에서 4-0 완승을 거두면서 2연승으로 결승에 선착했다.올해부터 결승전은 단판 경기가 아닌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바뀌었다. 1차전은 오는 26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차전은 다음달 9일 광저우의 톈허 스타디움에서 열린다.이날 주장 하대성은 선제골로 기선을 제압했고 김진규는 1-2로 뒤진 후반 35분에 천금 같은 페널티킥 동점골을 터뜨려 서울의 결승 진출에 큰 공을 세웠다.이란 국가대표의 핵심 미드필더 자원인 자바드 네쿠남과 테이무리안이 경고누적으로 전력에서 이탈한 에스테그랄은 초반부터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지만 역부족이었다.에스테그랄은 1차전 패배를 의식한 듯 초반부터 전진배치를 통해 공격적인 축구를 선보였다. 홈 팬들의 일방적인 응원 속에서 힘을 내는 듯 했다.그러나 서울 역시 경기 시작 2분 만에 데얀의 헤딩슛으로 맞불작전을 펼쳤다. 에스테그랄이 주도권을 잡았지만 서울 역시 효율적인 역습으로 위협했다.전반 34분에는 에스쿠데로가 페널티박스 왼편에서 오른발로 감각적으로 감아 차 에스테그랄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이어 3분 만에 서울이 포문을 열었다. 주인공은 하대성. 하대성은 코너킥 세트피스에서 페널티박스 외곽으로 흐른 공을 잡아 수비수를 따돌리고 감각적인 왼발 칩 슛으로 에스테그랄의 골네트를 갈랐다. 골키퍼 키를 살짝 넘기는 환상적인 골이었다.전반을 1-0으로 앞선 서울은 후반 시작 5분 만에 동점골을 허용했다. 코너킥 세트피스에서 사무엘에게 헤딩슛으로 골을 허용했다.동점골이 터지자 에스테그랄은 공격에 더욱 총력을 기울였다. 에스테그랄이 수비에 소홀하면서 자연스레 서울의 역습도 위협적이었다.그러나 에스테그랄이 균형을 깼다. 후반 30분 모하마드 가지가 골포스트에 맞고 나온 공을 침착하게 밀어 넣어 2-1 역전에 성공했다.기쁨도 잠시였다. 서울은 5분 만에 에스테그랄의 희망에 찬물을 끼얹었다. 후반 34분께 차두리가 상대의 반칙으로 페널티킥을 얻었고 김진규가 강력한 오른발 슛으로 골망을 흔들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서울이 득점 합계에서 4-2로 달아나면서 사실상 결승 진출을 확정한 순간이다. ◇2013 AFC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2차전(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서울(한국) 2 (1-0 1-2) 2 에스테그랄(이란)▲득점 = 하대성(전 37분) 김진규(후 35분·이상 서울), 사무엘(후 5분) 모하마드 가지(후 30분·이상 에스테그랄)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