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교역액이 북중 교역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일본의 방사능 유출 상황과 식품 방사능 오염 현황 등을 주시하면서 필요한 경우 방사능 기준 강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경북도의회 각 상임위가 제246회 임시회 기간을 맞아 활발한 현지방문 활동을 펼치고 있다. 22일 도의회에 따르면 교육위원회(위원장 김영기)는 23일까지 영천, 경주, 포항 지역의 특수 및 대안 학교를 방문, 운영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파악한다.
18일 경북도의회 교육상임위가 경북교육청이 제출한 ‘농산어촌 초중학생 급식비 지원비’를 전액 삭감한 것과 관련, 시민단체와 지역야당이 “경북도의회와 한나라당이 주민들의 요구를 짓밟고 무상급식예산을 잘라버렸다”며 강력반발하고 있다.
일본 대지진 재난지역인 일본 동북부 미야기현 센다이 인근에 파견돼 실종자 수색·구조활동을 벌여온 119구조대가 23일 귀국한다.
통일부가 오는 29일 경기 파주시 문산에서 백두산 화산연구와 관련, 남북 전문가단 협의를 갖자고 북한에 공식 제의했다.
전 국민을 충격과 슬픔에 빠뜨렸던 천안함 폭침사건이 26일로 1년을 맞는다.
김관진 국방부장관은 22일 "(수원·광주·대구의 공군) 비행장 이전 필요성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대학 시간강사 제도를 폐지하고, 강사에게 교원지위를 부여해 처우를 개선하기로 했다.
서방국가 연합군이 리비아에 대한 군사적 행동에 들어가면서 현지에 진출한 국내 건설사들은 이번 사태에 따른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리비아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면서 근로자들을 대부분 철수시켰지만 현장 관리를 위한 필수인력들은 현지에 남겨뒀기 때문이다.
한국환경공단이 경영평가 성과급을 나눠먹기식으로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감사원의 감사결과 밝혀졌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출된 방사능이 바다로 유입돼도 한반도 주변 바다에는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의 영토가 일그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진으로 한반도가 전체적으로는 동쪽으로 움직였지만 지역에 따라 이동 방향과 크기가 제각각이었기 때문이다.
정부가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뇌·신경 IT 융합 뉴로툴 등 미래산업 선도기술 R&D에 1조5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사상 최악의 지진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나라 일본을 위한 사랑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전 세계인들이 'Pray for Japan'이라는 메세지를 통해 시련을 겪고 있는 일본을 응원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스타들도 릴레이에 동참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한·일 외교장관은 일본 지진·해일 사태에 따른 원전 피해 상황과 관련한 정보를 적시에 공유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외교통상부가 19일 밝혔다.
민주당 변재일 의원은 20일 "인공적 핵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성 물질이 중국발 황사에 함유돼 한반도에서 검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정희수 의원은 20일 "지진피해에 대한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모든 신축 건축물의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는 건축법 일부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며 관련 부처와 정치권의 협조를 요청했다.
사상 최악의 대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 국민들을 돕기 위해 대학생들이 나섰다.